본문 바로가기

국어14

형태소의 개념과 종류 국어 문법을 공부하다보면 ‘형태소’라는 개념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사실, 이 네 가지 형태소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면서 자주 나오는 형태소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입니다. 하지만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본적으로 ‘형태소’의 개념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형태소의 기본 개념에 대해 먼저 알아본 뒤에, 앞서 언급했던 다양한 형태소의 개념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형태소의 뜻 - 형태소는 뜻을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가리킵니다. 형태소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다위기 때문에 더 이상 쪼갤 수 없으며, 형태소를 쪼개면 의미가 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 2021. 10. 20.
시의 <운율>에 대해 알아보자. 시에는 있고 다른 글에는 없는 두 가지 특징은 바로 운율과 함축성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 운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멜로디가 있는 노래도 아닌 글에서 왠지 모르게 리듬감이 느껴진다면 그것은 바로 운율 때문이다. 그러니까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시는 운율이 있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유행이 조금 지난 말이긴하지만, 무심코 내뱉은 말이 마치 랩의 가사처럼 입에서 맴도는 느낌이 날 때, “오~ 라임 쩌는데?” 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에픽하이의 ‘빈 차’라는 노래의 가사 중에 ‘평범해지는 게 두려워서 꾸던 꿈, 이젠 평범한게 부럽군.’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노랫말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운율 살리기 위해서 문장의 형태나 소리를 비슷하게 만든 부분이다. 이처럼 의도적으로 단어나 말소리를 구성하면 글.. 2021. 8. 20.
시적 화자 쉽게 파악하는 방법 모든 곡들이 그렇지는 않지만 우리가 즐겨 듣는 노래들의 대다수는 만드는 사람과 부르는 사람이 나뉘어 있다. 거기서 노래를 만드는 사람은 다시 가사를 쓰는 작사가와 멜로디를 만드는 작곡가로 나뉘는데, 한 명이 두 가지 작업을 다 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사와 작곡을 따로 분담해서 하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이들은 노래를 만들면서 이 곡을 누가 불러야 노래의 분위기를 잘 살려낼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된다. 가수마다 음색이나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불렀을 때 어울리는 노래가 있고, 그렇지 않은 노래도 있기 때문이다. 시도 마찬가지다. 작가는 시를 쓰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말투나 분위기에 맞게 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시는 시인을 대신해서 시를 말하는 가상인 인물이나 대상을 정하는데 이를 ‘시적 화자’ 또.. 2021. 2. 4.
국어 점수 확실하게 올리는 네 가지 방법 가끔 아이들이 물어본다. “선생님 국어는 어떻게 공부해야 해요?” 나는 그 질문이 별로 달갑지 않다. 그 이유는 정말 국어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무심코 내뱉은 짧은 질문 한 마디가 내뱉어지는 순간부터 정상적인 수업을 하기 힘들 정도의 긴 대답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내신이든 모의고사든 국어 점수를 잘 받기 위해 아이들이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은 뭐가 있을까를 오랜 시간 동안 고민해왔기 때문에 제자들에게 알려 줄 수 있는 국어 공부법은 차고 넘쳐난다. 하지만 문제는 아무리 간단하고 쉬운 방법을 알려줘도 아이들은 실천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아주 가끔 내가 알려 준 공부 방법들에 관심을 기울이며, 실천해보겠다고 덤벼들어 효과를 보는 아이들도 있지만 100명에 한 명 있을까 말까 한 극.. 2021. 1. 26.